사회

병원 ‘코드블루’ 뜻은? CPR부터 ROSC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eduwithu 2025. 5. 28. 18:3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의료 상식과 응급처치 지식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리는 블로그입니다.

오늘은 병원 드라마나 응급실에서 자주 들리는
“코드블루(Code Blue)”의 정확한 의미와
심정지 상황에서 시행되는 CPR(심폐소생술)
그 결과로 회복되는 상태인 ROSC까지
카드뉴스로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코드블루(Code Blue) 뜻은?”

  • 병원 내에서 심정지(심장이 멈춤) 발생 시 사용하는 응급코드
  • “코드블루입니다, OOO병동!” → 심정지 응급팀 호출 신호
  • 간호사, 의사, 응급전문팀이 즉시 출동

✔️ 응급실, 병동, 검사실 등 병원 내 모든 구역에서 사용 가능

“CPR(심폐소생술) 뜻은?”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의 약자
  • 심장이 멈춘 환자에게 인공호흡 + 흉부 압박을 통해
    혈액순환과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응급조치
  • 일반인도 할 수 있는 생명구조 기술

최근에는 ‘가슴압박만 CPR’이 일반인용 기본 권장

“ROSC 뜻은?”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 자발순환회복
  • CPR 후 심장이 다시 스스로 뛰기 시작한 상태
  • 코드블루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최종 목표

✔️ ROSC가 되면 즉시 ICU(중환자실) 또는 심장내과로 이송됨

“코드블루 → CPR → ROSC 흐름 이해하기”

  1. 심정지 발생 → 코드블루 호출
  2. 의료진 도착 후 즉시 CPR 시작
  3. 약물 및 제세동기 사용
  4. 자발순환(ROSC) 회복 시 환자 이송
  5. 이후 집중관리 (ICU, 심장모니터링 등)

추가 상식 - 코드레드, 코드화이트는?

코드블루 심정지 응급상황
코드레드 화재 발생
코드화이트 폭력 상황 발생 (환자/보호자)
코드오렌지 대량재해 발생

✔️ 코드블루 = 심정지 응급 상황 호출
✔️ CPR = 심폐소생술
✔️ ROSC = 심장이 다시 스스로 뛴 상태

 

이 세 용어만 정확히 알아도
응급상황 뉴스나 병원 드라마가 훨씬 쉽게 이해됩니다.
또한 응급처치나 의료 자격증 준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 ✔ 심폐소생술 자격증 따는 법
  • ✔ AED(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 ✔ 응급처치 기본 매뉴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