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2025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총정리 - 자격요건부터 지원혜택까지 한눈에 보기

eduwithu 2025. 6. 8. 23:47
728x90
반응형

 

최근 지속되는 고물가와 주거 불안정 속에서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한 정책 금융상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직접 지원금을 제공하는 제도적 장치로,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어 큰 관심을 끌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2025년 6월 청년도약계좌의 신청 일정, 가입 조건, 정부 기여금, 유의사항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5년 동안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서 정부가 매달 일정 금액을 추가로 지원하는 정책형 적금 상품입니다. 단순한 저축이 아닌 자산 형성형 복합 금융지원제도로 볼 수 있으며, 세제 혜택도 포함되어 있어 고수익의 안정적 상품입니다.

  • 가입기간: 최대 5년 (60개월)
  • 월 납입한도: 1,000원 ~ 70만 원 (자율 납입 가능)
  • 금리구조: 가입 초반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 적용
  • 세금혜택: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 시, 정부지원 + 이자 포함 약 5천만 원 이상 자산 형성 가능


2025년 6월 신청 일정 및 방법

  • 신청기간: 2025년 6월 2일(월) ~ 6월 13일(금)
  • 신청방법: 주요 시중은행 앱 및 인터넷뱅킹을 통한 비대면 신청
  • 필요서류:
    • 공동인증서
    • 주민등록등본
    • 소득확인자료 등

TIP: 신청 초일 및 마감일에는 접속량 증가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니 여유 있는 평일 오전 신청 권장


신청 자격 요건

구분 조건

연령 만 19세~34세 (군 복무자는 최대 6년 연장 적용 가능)
개인소득 연 급여 7,500만 원 이하 or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가구원 수별 상이)

▪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250% 기준표 (2025년 적용 기준)

가구원 수 월 소득 기준 (세전)

1인 5,980,033원 이하
2인 9,831,645원 이하
3인 12,563,383원 이하
4인 15,244,433원 이하
5인 17,770,480원 이하

※ 소득심사는 본인+가족 구성원 전체 기준으로 적용되며, 최근 소득자료가 없을 경우 전전년도 자료로 대체 가능합니다.


정부 지원 및 혜택

항목 상세 내용

기여금 최대 월 33,000원 정부 매칭 지원
세제 혜택 이자소득 100% 비과세
중도해지 시 유예제도 3년 이상 유지 시 일부 기여금과 세제혜택 유지 가능

정기예금 대비 연 수익률 환산 시 약 7.7%에 달하는 실질 수익률


자주 묻는 질문(FAQ)

Q1. 소득이 있는 프리랜서도 가입할 수 있나요?
A. 예. 사업소득·기타소득도 인정되며, 비과세 소득만 있을 경우는 제외됩니다.

 

Q2. 34세인데 군 복무 경력이 있어요. 가입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군 복무기간만큼 연령 기준에서 제외 적용됩니다(최대 6년).

 

Q3. 청년희망적금과 중복가입이 되나요?
A. 불가능합니다. 단, 해지 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는 가능합니다.

 

Q4. 소득확인이 어려운데 신청 가능한가요?
A. 전년도 자료가 없다면 전전년도 소득자료를 제출하여 심사 가능합니다.

 

Q5. 납입을 쉬는 달이 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A. 유연 납입제도 운영으로 일시 납입 중단 가능. 단, 기여금은 일정 납입 조건 충족 시 지급됩니다.

 

Q6. 중도 해지하면 전부 손해인가요?
A. 3년 이상 유지 시 기여금 60%와 세제혜택 일부는 유지됩니다.


2025년 6월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닌, 정부가 청년의 미래를 위해 직접 지원하는 금융 안전망입니다.

5년간 성실히 납입한다면 고금리 예금보다 더 높은 실질 수익률과 함께 세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자산 형성이 어려운 시기, 가장 전략적인 선택이 바로 청년도약계좌일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은 6월 13일까지이니 늦지않게 신청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