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세계 최초의 대학은 어디? 세계 교육제도의 역사와 한국 비교

eduwithu 2025. 7. 10. 17:48
728x90
반응형

하버드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아닐까?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하지만,

사실 세계 최초의 대학은 유럽보다 아랍 세계에서 먼저 시작됐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대학을 고등교육의 상징처럼 여기지만,

그 시작은 지금과 많이 달랐죠.

그렇다면 세계 최초의 대학은 어디에서, 어떤 형태로 존재했을까?

 

그리고 한국의 교육제도와 어떤 차이와 공통점이 있을까?

이 글에서는 세계 대학의 기원부터 한국 교육의 역사적 비교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세계 최초의 대학은 어디인가?

많은 사람들이 하버드, 옥스퍼드, 혹은 볼로냐 대학교를 세계 최초의 대학이라 생각하지만,

진짜 1등은 모로코 페즈의 '알카라윈 대학교(University of al-Qarawiyyin)'다.

 

무려 859년에 설립되어 오늘날까지 운영 중이며,

유네스코와 기네스북 모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 대학으로 인정했다.

 

이 대학은 여성 설립자인 파티마 알피히리(Fatima al-Fihri)에 의해 세워졌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당시 알카라윈은 단순한 종교 교육기관이 아니라 천문학,

수학, 철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던 종합 교육기관이었다.

 

이는 이슬람 세계가 학문과 지식에 얼마나 열려 있었는지 보여주는 대표 사례다.

 

 

2. 중세 유럽의 대학: 종교에서 출발한 교육기관

중세 유럽에서 대학은 기독교 성직자 양성소의 연장선으로 시작되었다.

 

대표적인 예가 이탈리아의 볼로냐 대학교(1088년 설립)로, 법학 중심의 교육으로 유명했다.

프랑스 파리 대학교(신학), 영국의 옥스퍼드케임브리지(신학+자연철학) 역시 종교와 교육이 밀접하게 연결된 구조였다.

 

하지만 점차 세속 학문의 중요성이 커지고, 학문적 자율성이 강조되면서 오늘날의 대학 구조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특히 학위 수여 제도와 자율적 교육 커리큘럼은 중세 유럽 대학의 큰 유산으로 남아있다.

 

 

3. 동아시아의 고등교육: 한국의 교육제도는 어땠을까?

한국은 유럽과 다른 방식으로 고등교육을 발전시켰다.

고려 시대의 국자감, 조선 시대의 성균관은 국가가 운영한 최고 교육기관이었다.

 

이들 기관은 유교 경전과 한문 중심의 교육을 시행했으며, 목표는 과거 시험을 통해 관리 등용하는 것이었다.

즉, 유럽의 대학이 지식 추구를 중심에 두었다면, 한국의 교육은 국가 관료 양성이 핵심이었다.

 

또한 지방에는 향교, 사설 교육기관인 서원 등이 존재해 교육의 기회를 일부 확대했지만,

신분에 따라 교육 기회가 제한적이었던 것도 큰 차이다.

 

4. 현대 대학의 모습: 동서양의 융합

오늘날 한국의 대학 제도는 유럽과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대학은 이제 연구, 창업, 글로벌 교류까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입시 중심, 학벌 중심 문화는 강하게 남아 있다.

 

이는 조선 시대부터 이어진 시험을 통한 출세 문화가 현대까지 이어져 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역사 속 교육 제도의 흐름을 이해하면, 오늘날 한국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의 뿌리도 함께 들여다볼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은 아랍 세계에서 출발해 유럽으로 퍼졌고,

오늘날 대학의 틀을 완성했습니다.

 

한국 역시 고유한 교육제도를 발전시켜왔지만,

입시 중심 교육과 출세 중심 문화는 여전히 과거의 영향 아래 있습니다.

 

진정한 교육은 자유로운 탐구와 성장의 기회 제공에서 시작된다는 사실,

역사를 통해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됩니다.

 

 

 

 

 

 

728x90